“中, 전문 드론 전투부대 창설 가능성”
![]() |
중국 드론. 홍콩 SCMP 캡처 연합뉴스 |
중국 인민해방군이 외부 드론 위협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전문 전투부대를 창설할 가능성이 크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중국군 기관지 해방군보가 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군은 우크라이나 전쟁, 인도-파키스탄 분쟁, 이스라엘·이란 간 공습 등에서 드론의 군사적 활용이 급증함에 따라, 별도의 드론 대응 부대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미국이 대만 방어를 위해 ‘지옥도(hellscape) 전략’을 추진할 것이란 관측과 맞물려 중국 역시 이에 대응한 전략 수립에 나설 것으로 분석된다. 지옥도 전략은 중국군이 대만해협을 건너 기습 공격할 경우, 미군과 대만군이 수천 대의 공중 드론과 무인 수상·잠수 드론을 동원해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한다는 개념이다.
국제사회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세 번째 임기가 끝나는 2027년 이전,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
중국의 대만 공격 드론. 홍콩 SCMP 캡처 연합뉴스 |
해방군보는 인민해방군 전문가들을 인용해 “베이징은 미국의 지옥도 전략을 인지하고 있다”며 “대 드론 전담 부대 창설은 장기 목표이며, 당장은 기존 전투 부대에 드론 대응 역량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구조 조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전자전 부대 업그레이드, 인공지능(AI) 기반 분석, 모바일 전파 방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무인 대응부대 창설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들은 “AI 기반 드론 군집의 등장은 전투의 초점을 기존 물리적 화력에서 인지 영역의 의사결정 속도로 전환시킬 것”이라며 “딥러닝 등 지능형 알고리즘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융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휘·통제 체계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방군보는 “인민해방군 공군이 2016년 초 소형 무인 항공기 탐지 및 무력화를 담당하는 특수부대를 창설했지만, 현재 육·해·공군과 로켓군에는 전문화된 대 드론 부대가 없는 상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