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차 이산화탄소 배출 90% 제거 위한 법안
업계 관계자 “충분한 충전인프라 대응도 필요”
2040년부터 EU 국가에서는 친환경 트럭만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유럽연합(이하 EU) 국가들이 트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법안을 최종 승인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40년부터 EU 국가에서는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친환경 트럭만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이 법은 2040년까지 대형 차량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90% 제거를 목적으로 마련됐다. 유럽의 트럭 제작사들은 이번 법안에 따른 규제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트럭·수소트럭과 같은 친환경 차량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럽은 대부분의 트럭이 디젤로 운행되고 있으며 이는 유럽 전체의 도로 운송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이에 트럭 제작사들는 자사 차량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45%, 2035년까지는 65%를 줄여야 한다는 중책을 맡게 됐다.
그러나 몇몇 국가들은 2040년 이후에도 내연기관 트럭 판매를 허용하는 정책을 원했다. 친환경 트럭을 곧장 받아들이기에는 리스크가 크다는 것이다.
미국도 디젤트럭을 대체하는 전기트럭을 도입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 전역, 특히 동부 지역의 중량물 운송의 전기화는 초기 단계에 있다”며
“350kW 이상의 충전기 댓수와 전체 차량 중 전기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한 대안이 함께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한 EU의 법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트럭에 적합한 전기 충전소 5만 여대가 더 필요하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실제 미국의 경우, 전기 트럭 확충을 위해 약 140만 대의 충전기가 필요하며 2032년까지 월 1만 5,000대를 설치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 송전 및 변전소를 개발하고 확충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비판 여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처럼 EU의 새로운 정책은 2032년까지 배달 트럭의 60%, 장거리 트랙터 판매의 25%를 전기 모델로 대체한다는 미국의 규제보다 엄격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미국 대비 엄격한 EU의 정책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 디젤트럭 대비 인프라·주행 거리가 열세한 전기트럭은 장시간 충전 및 유휴 장비가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찬반 의견간의 잡음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준희 기자 junnypark@cvinfo.com
출처-상용차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