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년까지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 계획

탄소배출권 거래로 공공버스 재정절감 유도


경기도가 경유, CNG 연료를 사용하는 시내버스를 친환경 버스로 전환한다. 


경기도가 2033년까지 도내 모든 시내버스를 친환경 차량으로 대체하는 ‘친환경 버스전환 통한 탄소중립 실천계획’을 15일 발표했다. 


현재 경기도 내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1만 900대 중 76%인 8,131대가 경유, CNG(천연가스) 연료를 사용하는데, 이를 모두 친환경 버스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환경부의 탄소 감축 규제를 받지 않는 3,548대도 재정투입을 통해 전환을 앞당길 예정이다.


탄소배출권으로 버스업체의 수익 증가시 도가 지급하는 공공버스 재정지원금도 절감된다.


이와 더불어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전기버스 전환 정책에 활용할 계획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정부가 기업별로 탄소 배출량을 미리 나눠준 뒤 할당량보다 배출량이 적으면 배출권을 거래소에 팔 수 있다. 도는 버스업체가 전기버스 전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탄소배출권 신청·인증·판매 절차를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규제를 받지 않는 3,548대를 대상으로 탄소배출권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를 판매해 총 71억 원의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버스업체들의 수익이 증가하면 경기도가 버스업체에 지급하는 공공버스 재정지원금도 절감된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친환경 버스 전환계획에서 수소 버스 확대, 공공버스 경제적 운행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탄소중립 정책을 펼칠 것”이라며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 창출을 계기로 공공 재정을 아낄 수 있는 여러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준희 기자 junnypark@cvinfo.com


출처-상용차신문

https://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27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