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송대관은 전라북도 정읍 출신의 독립운동가 송영근 선생의 손자다. 송영근 선생은 3·1운동 당시 체포돼 옥고를 치르는 등 독립을 위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2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그래서인지 송대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작년에 독립유공자는 3대까지 합당한 예우를 받게 할 것이라고 약속한 것에 큰 기대를 갖는다”고 말했다.

 

 

“사실 가정형편이 어려운 독립유공자 집안이 너무 많아요. 집안에 가장이 없으니 어떻겠어요. 독립운동을 하다가 옥고를 치르면 남은 가족들의 삶은 너무 힘들어요.”

그는 거듭 집안 어른 중에 그런 분이 계시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며 살아간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후손들이 자부심은 갖지만, 정말 어렵게 사는 것을 많이 보았다”면서 그나마 자신은 살만하지만 “형편이 어려운 많은 유공자 후손이 정부의 도움을 절실히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독립운동을 하다 보면 결과적으로 가정을 돌볼 겨를이 없다. 송대관 역시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없다.

“3·1운동 당시 나라 잃은 설움에 복받쳐 울분을 토했고 태극기를 만들어 돌리며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신 할아버지는 군산형무소에 투옥돼 모진 고문을 당했다고 들었어요. 그 후유증으로 형무소에서 나오자마자 돌아가셨다고 해요.”

할아버지를 직접 만나본 적 없는 송대관은 주위 친척들에게 독립운동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자부심은 들었지만 평소 할아버지가 독립유공자인 것을 전혀 드러내지 않았다. 그 이유를 묻자 송대관은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친 분은 할아버지지 제가 한 일이 아니다. 더욱이 손자로서 내가 이뤄놓은 일이 없기에 대놓고 자랑할 수 없었다”고 털어놓으며 “가수왕이 되고 떳떳한 사회인이 되고 나서야 할아버지가 독립유공자라는 사실을 알리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 전까지는 훌륭한 할아버지를 가슴속에만 간직했다.

 

 

송대관은 3·1절이 가까이 다가오면, 할아버지가 대한 독립을 외쳤던 전북 정읍을 찾아 공연을 한다. “3·1절이 되면 정읍에서 꼭 나를 찾는데, 바빠도 할아버지를 기억하는 행사라 참석하려 노력한다”며 “당시를 재연하는 행사도 하는데, 할아버지가 겪으셨을 고통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부가 이제라도 유공자와 그 자손들을 위해 나서주겠다는 말이 너무 고맙다”며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사라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부는 이러한 취지를 이해하고 국가유공자를 예우하기 위한 사업을 내년 예산에 반영했다. 국가유공자 집안에 품격 있는 명패를 달아드리는 사업에 62억 4700만 원을 배정했다.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민주유공자의 집이라는 것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정부 주관으로 명패를 달아주겠다는 계획이다. 내년부터 국가유공자의 집을 직접 방문해 부착하게 된다. 특히 현충일, 순국선열의 날 등 국가유공자의 노고를 기리는 날에 명패 부착을 시행해 국가적인 보훈 분위기를 만들어나갈 예정이다. 현재 이 명패에 사용할 국가유공자 상징체계 디자인을 개발 중이다.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와 국민들의 호국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명패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국가유공자 명패 사업으로 국가유공자에 대한 사회적 예우 분위기를 조성하고, 국가유공자의 자긍심 제고는 말할 것도 없고 국민의 애국심 고취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국가유공자의 나라를 위한 헌신과 희생정신을 온 국민이 공유하고 계승하는 계기로 만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