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 군사/무기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10)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원사 3 바람으로2 25.04.21 19:34 답글 신고
    LIG 에서 등록한 관련 논문입니다. 저는 천궁용 AESA 레이더에 들어가는 TRM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http://dx.doi.org/10.5515/KJKIEES.2023.34.8.618
  • 레벨 중위 3 쩜육지디아이 25.04.21 19:50 답글 신고
    저는 제어관련 개발를 했었기에
    RF분야와는 거리가 있어 상식정도의
    수준 이라는 ^^
  • 레벨 대령 2 6SAR 25.04.21 21:35 답글 신고
    여기가 은근히 현직분이 있어요....ㅎㅎ
    반갑습니다.
  • 레벨 대위 3 청석 25.04.21 20:43 답글 신고
    잘하고 있네요
    무한 칭찬 드림요
  • 레벨 중위 3 쩜육지디아이 25.04.21 20:58 답글 신고
    ^^
  • 레벨 대령 2 6SAR 25.04.21 21:51 답글 신고
    KF-21 레이더를 공냉식 변환이라.....흠.

    KF-21 레이더 출력때문에 공냉식은 어려울텐데요.
    여기에 고주파 대역이라는 특성상 발열도 굉장히 심합니다.

    그래서 냉각 계통도 PAO계열 냉각제를 사용하고 있고, 개발시 TRM 보다 어려웠던 부분이 바로 레이더
    냉각장치 개발 이였다고 합니다.....추후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냉각용량을 여유를 뒀다고 하지요.
    여기에 한화는 25w급 TMR을 26년까지 개발 예정 입니다.

    또하나 현재 탑재시제 레이더로 KF-21에서 각종운영 모드 및 검증을 하고 있습니다.
    공냉식으로 변경이 되면, 기체의 재설계가 필요하게 되고, 또 공냉식 레이더에 대한 검증 TEST를
    또 해야 합니다.

    KF-21 이제 막 시작 단계라는걸 감안하면, 미안 하지만 뭔가 착각 하신게 아닌가 생각 됩니다.

    한화가 레오나르도사 와 공동 개발 한다는 공냉식 레이더는 ESR-500 처럼 소형기 또는 무인기 같은
    경량비행체용 같습니다.....기사 내용을 봐도 ESR-500과 동급레이더 입니다.
    https://www.hanwha.co.kr/newsroom/media_center/news/news_view.do?seq=13610
  • 레벨 중위 3 쩜육지디아이 25.04.21 22:16 답글 신고
    FA-50용은 노우즈 콘 면적 제한으로 인하여 공냉식이
    맞는 것 같습니다. 한화에서 개발 예정 레이더
    또한 LIG의 ESR-500A와 거의 동급인
    모듈수 512개 정도로 알고 있네요.

    KF21용은 1000개가 넘는 모듈임에도 불구하고
    공냉식으로 변경 했다는 정보에 놀라웠고,
    변경에 따른 추가 시험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의문도 갖고 있습니다.

    다만, 여러가지 찾아 봤을 때 변경이 특별히 틀렸다 라는
    정보가 없었기에 개인적 입장에서는 인정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태 입니다.
    추후 확인 된 사실이 본 글과 다르다면
    자삭을 하지요.
  • 레벨 대령 2 6SAR 25.04.21 23:21 신고
    @쩜육지디아이 자삭까지 필요 있겠습니까....^^*
    관련쪽에서 계시면서 듣는 정보 이니, 틀렸다고 할수 없는 이야기 이지요..
    제가 의문을 표하는건 어디까지나 추론 이니까요.

    FA-50 모듈수는 노즈콘 면적이 고정 되어 있으니,서로서로 비슷 할껍니다.
    T-50 개발 당시 채택 하려했던 빅센500 레이더도 모듈수 500대 였으니까요.
  • 레벨 대령 2 6SAR 25.04.22 11:02 답글 신고
    KF-21 공냉식은 이거 와 연관이 있는것 같네요.

    쉘든의 밀리터리
    https://maily.so/sheldon/posts/knrjv6g5rld
    유료채널이라....아래 내용을 참조 하시념 될껏 같습니다.

    DARPA의 칩 내부/칩 간 강화 냉각(ICECool) 프로그램
    https://csmantech.org/wp-content/acfrcwduploads/field_5e8cddf5ddd10/post_2558/050.pdf
    해당 냉각기술이 적용 되면 이론적으로 6배의 출력 향상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위의 프로그램 처럼 국내도 과제로 수행 중이네요.

    자체 방열 기능을 가지는 고출력 GaN 소자 개발.
    GaN-on-SiC 소자의 직접냉각을 통한 RF 전력특성 분석.
    GaN HEMT RF 소자의 직접냉각.
    고출력 SiC 파워모듈용 절연-냉각 일체형 고방열 Integrated substrate 소재 기술.


    내용이 좀 애매하게...직접냉각에 유체가 들어간다는게 애매하긴 합니다.
    "GaN-on-SiC 소자의 직접냉각을 통한 RF 전력특성 분석"을 보면
    아래 내용이 나오거든요.

    "마이크로 펌프(GA-X21, Micropump)를 이용하여 유체를 공급하고, 유량계(mini cori-flow, Bronkhost)
    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고, 차압계(PX-409, Omega)와 절대압력계(PX-109, Omega)를 이용하여
    절대 압, 차압 측정이 가능한 열성능 측정과 RF 전력증폭성능 측정을 위한 로드풀 장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 셋업을 하였다. 소자의 온도는 IR 카메라 (FLIR,A6753, 3x Len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레벨 중위 3 쩜육지디아이 25.04.22 18:23 답글 신고
    DARPA 논문 링크 감사 합니다.
    알지 못했던 내용들이라 관심 있게 읽어 봤습니다.

    소자에 대한 기존 열관리기술(TMT)의 한계로 인하여
    다음 2개의 열관리기술(TMT)을 개발 중 이고,
    (1) 마이크로 기술을 이용한 공냉식 열교환기인 Heat Sink 개발
    (2) TGP 증기챔버 방열판 Heat Sink 개발

    그리고, 위의 기술은 소자 내부 열제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아래의 다른 두 가지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눈문 이네요.
    첫째, NJTT.
    인접한 접합부에 대한 열 전달 연구
    반도체 제조공정이라 대략적인 이해만 함.

    둘째, ICECool (소자 내부/소자와 소자 사이에 대한 향상된 냉각방식)
    소자내부에 내장형 냉각통로(Embedded cooling)를 만들거나
    소자와 소자사이 공간을 냉각통로로 이용하는 연구.

    얇은소자 또는 그런 소자와 소자 사이에 내장형 냉각통로를
    만든다는게 놀랍습니다.

    수냉식 같은 공냉식 인지?
    공냉식 같은 수냉식 인지?
    헷갈리네요 ㅎ ~~~~

    덕분에 좋은 자료 얻어 갑니다.

덧글입력

0/2000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