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콘퍼런스콜 "부품 재고도 확보…일정 관세는 만회될 것"
현대차 양재사옥
[현대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현대차가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자동차 관세 위기에 대응해 북미 지역에서 3개월이 넘는 분량의 완성차 재고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또 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외 시장에서 생산해 온 완성차 물량을 미국 내 공장으로 이관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승조 현대차 기획재경본부장은 24일 올해 1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미국 관세 대응 전략에 대해 "지난 3월 말까지 최대한 선적을 추진해 완성차 및 부품 재고를 최대한 비축했다"며 "완성차 기준으로 북미에서 3.1개월의 재고를 갖고 있고, 부품은 그것보다 더 긴 재고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일정 부분의 관세는 부품 재고 비축으로 만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현대차는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해 거점·차종별 공급 및 판매 최적화 방안도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기아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되는 미국 판매용 투싼은 HMMA(미국 앨라배마공장)로 돌리고, HMMA에서 생산하던 캐나다 판매 물량을 멕시코로 넘기는 방안을 지금 시행 중"이라며 "한국산 미국행 물량도 미국의 마켓 쉐어를 유지한다는 대전제 하에 수익성 위주로 타 거점으로 이관할 수 있는 물량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앞서 이달 중순 미국 관세 대응 전략 TFT(태스크포스팀)를 출범해 전사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TFT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부품 소싱과 물류를 포함한 미국 현지화 전략을 수립하고 미국 현지 공장인 HMMA 및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 효율화 방안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경상 및 투자 예산 재검토를 위한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의 수립을 마무리하는 단계다.
이 본부장은 "경상 예산은 핵심 사업 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행성 비용을 최소화하고 마케팅 효과가 낮은 비용을 절감하는 등 불필요한 예산 절감을 추진할 예정이고, 투자 예산은 미래 경쟁력 확보 및 효율성 관점에서 우선순위를 설정해 유연하게 운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현대차는 미국 자동차 및 부품 관세에 따른 수익성 악화 규모는 아직 구체적인 수치로 밝히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 본부장은 "관세 영향 산출에서 세부 사항에 대한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 좀 더 불확실성이 제거된 후 시장과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본부장은 현대차가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추진 중인 상용차 개발 협력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어떤 방향으로든 좋은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양사가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관세 정책 대응과 연계돼 논의되는 사항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다. 머지않은 장래에 발표할 시기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sh@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2000자